-
공공, 민간의 데이터 모두 열람, 분석 가능하다: 서울특별시 빅데이터 캠퍼스 소개!프로그래밍/빅데이터 2021. 10. 15. 09:21반응형
빅데이터 분석 사례 등을 검색하다 서울의 빅데이터 캠퍼스 사이트까지 흘러들어 가게 되었습니다.
이런 곳을 이제야 알다니 전 아직 한참 멀었네요...ㅜㅜ
https://bigdata.seoul.go.kr/main.do서울특별시 빅데이터 캠퍼스
bigdata.seoul.go.kr
서울특별시 빅데이터 캠퍼스는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는 장소인데요.
공공기관의 데이터는 정보공개법에 따라 쉽게 접근이 가능하지만 민간기관의 데이터는 기관의 보안과 정보 독점의 영향으로 쉽게 열람하기 어렵죠.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 캠퍼스가 설립되었습니다. 캠퍼스 내에서 민간기관의 데이터를 미리 신청을 통해서 열람하고 이를 공공기관의 데이터와 연계해서 분석도 가능합니다.
초기 창업기업의 공공 데이터 활용·도입을 지원하기도 하고, 일반시민들의 빅데이터 접근이 용이하도록 합니다. 각 종 공모전과 아카데미도 열려서 교육프로그램 수강도 가능하니 4차산업 시대에 걸맞은 장소라 할 수 있죠.
민간기관의 자료도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데이터의 반출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반출을 원하면 신청과 심사를 통해 가능은 하긴 합니다.
아카데미의 경우 대면수업이 주를 이루나, 비대면 온라인 수업도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합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데이터 검색뿐만 아니라(검색은 가능하지만 샘플데이터만 볼 수 있고, 온전한 데이터는 신청 후 캠퍼스에 방문해야 합니다.) 분석사례도 볼 수 있는데, 공모전 입상작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위치
본원과 분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본원은 상암에 위치하고, 분원은 양재, 서울시립대(재학생만 이용 가능), 서울기술연구원(직원만 이용가능), 서울연구원(직원만 이용가능), 상명대학교(재학생만 이용 가능)에 위치합니다.
분원은 다양한 곳에 있는 데, 분원마다 이용 가능객에 대한 제한이 있어요.
재학생, 교직원이나 연구원 직원만 이용 가능하니 사실상 일반 시민은 상암의 본원과, 양재의 분원만 시설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상암의 에스플렉스센터 스마티움동의 경우, 1층에서 신분증을 맡기고 일일 출입증을 발급받아야 하니 신분증을 꼭 가져가야 해요!
이용 및 시설
선신청 후방문!
이용신청을 필수적으로 먼저 하고 방문해야 합니다.
시설은 분석실과 세미나실이 존재하는데 코로나 때문에 이용 가능 좌석을 줄여 운영하고 있네요.
덧
개인적으로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데이터 중 하나는 'KT유동인구자료'
사람들 마다 폰 하나씩은 가지고다니니깐, KT는 유동인구 조사하기 정말 편할 것 같다.
각종 분석에서 기본이 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도도 높으니 데이터 분석만 잘하면 아주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한다.
특히 상권분석 등에 활용하면 창업자들에게 특히 유용하지 않을까,
최근 이와 비슷한 상권분석 논문 소식을 들었는데 스타벅스 효과에 관한 논문이다.
‘스타벅스 입지의 공간적 효과에 관한 연구 -2016년 개점된 서울시내 점포를 대상으로-’
한양대 도시공학과 연구진이 국토지리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인으로 kt유동인구자료를 활용하여 스세권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스타벅스 효과'를 연구대상으로 삼아서 스타벅스 개점 전후 1년의 공시지가와 유동인구를 비교 조사하였다.
분석대상 스타벅스의 개점 전후 1년의 공시지가 평균은 감소하여서 공시지가에 있어서는 스타벅스 효과가 작동하고 있지 않다고 추론하였고, 개점 전후 1년의 유동인구가 유의하게 늘어났으나 스타벅스 효과라기보다는 사회적 추이에 따른 결과라고 보고 있다. (다른 번화가 지역들에서도 비슷하게 유동인구가 증가했기 때문)
이를 토대로 스타벅스가 입점함으로써 주변 지역의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지역 상권의 가치가 뛰어난 곳에 선별적으로 스타벅스가 입점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덧 2
최근에 상암동 ‘빅데이터 캠퍼스’ 내에 통계청이 운영하는 ‘통계 데이터 서울상암센터’도 개소했다.
서울 사람들 부럽구먼...
‘통계데이터센터’는 통계청이 예전부터 운영하던 데이터 플랫폼인데, 상암동 건물 하나에 추가 신설함으로써 양 기관의 자료를 연계해서 활용하기도 좋고, 기존 통계청 플랫폼의 이용자 혼잡도도 낮아지니 일석이조!
반응형'프로그래밍 > 빅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균관대 SKK GSB, Programs Overview (0) 2021.10.18